사회복지학과

 

교수진

명예교수

김인숙(Kim, In-sook) 프로필 이미지

김인숙 명예교수

Kim, In-sook

연구분야

사회복지학

연구키워드

질적연구방법 여성복지 가족복지

최종학력

1994.08.31 | 서울대학교 | 사회복지학과 | 문학박사

연구실적

  • 2020.12 | 단독 | 한국사회복지교육, 제52권, pp.1-32
    국민기초생활수급 신청의 일에 관한 제도적 문화 기술지 -저소득 이혼여성을 중심으로-
  • 2017.02 | 단독 | 한국사회복지행정학, 제19권 1호, pp.101-139
   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일 조직화: 제도적 문화기술지
  • 2013.02 | 단독 | 한국사회복지학, 제65권 1호, pp.299-324
    제도적 문화기술지: 왜 또 다른 연구방법인가? -사회복지 지식형성에 주는 유용성과 함의-
  • 2012.02 | 단독 | 비판사회정책 34호, pp.77-128
    근거이론 담론과 사회복지 지식형성 : 그 지형과 의미
  • 2011.06 | 교신저자 | 청소년복지연구, 제13권 2호, pp.23-53
    시설 십대 청소녀의“자립”척도 개발: 십대 여성 지원 시설 입소 및 이용자를 중심으로
  • 2011.06 | 단독 | 사회복지연구, 제42권 2호, pp.351-379
    근거이론의 분기: Glaser와 Strauss의 차이를 중심으로
  • 2010.12 | 교신저자 | 한국가족복지학 30호, pp.41-74
    성매매피해여성의 탈업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-집결지 자활지원 사업을 중심으로-
  • 2010.11 | 단독 | 한국사회복지학, 제62권 4호, pp.33-58
    바우처 도입에 따른 사회복지전문직 정체성의 변화와 그 의미
  • 2010.02 | 제1저자 | 한국사회복지학, 제62권 1호, pp.55-81
    성매매피해여성의 자활 과정 척도 개발
  • 2009.11 | 단독 | 한국아동복지학 30호, pp.133-157
    시설거주 10대 성매매피해여성의 자활 과정
  • 2008.04 | 단독 | 한국가족복지학 22호, pp.95-129
    “자활” 개념의 재구성에 대한 탐색 : 성매매여성 자활 현장을 중심으로
  • 2007.08 | 단독 | 한국사회복지학, 제59권 3호, pp.253-280
    건강가정기본법 제정과정에 나타난 가족 및 가족정책 담론
  • 2007.02 | 단독 | 한국사회복지학, 제59권 1호, pp.275-300
    한국 사회복지 질적 연구: 동향과 의미
  • 2005.12.01 | 단독 | , 제10권, pp.5-30
    여성가족부 신설과 가족복지의 관점 및 방향
  • 2005.08.01 | 단독 | 상황과 복지 20호, pp.119-152
    한국사회복지실천의 정체성:정치사회적 관점에서
  • 2004.12.01 | 단독 | 사회복지리뷰 9호, pp.39-76
    가정에서의 일상과 보호노동:자녀보호와 양육
  • 2004.05.01 | 단독 | 한국사회복지학, 제56권 2호, pp.53-70
    사회복지사의 "가족" 담론 연구
  • 2004.02.01 | 공동저자 | 한국사회복지학, 제56권 1호, pp.283-307
   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가족인식 연구
  • 2003.12.01 | 단독 | 사회복지리뷰, 제8권, pp.5-22
    가족복지 지식의 패러다임: 반성과 모색
  • 2003.08.01 | 공동저자 | 한국사회복지학, 제53권, pp.179-207
    부천지역 여성복지관련 조직의 네트? 구조와 특성
  • 2002.05.01 | 한국사회복지학 제49호, pp.34-61
    사회복지사가 인식하는 임파워먼트의 의미에 관한 질적 연구 : 한국에서의 임파워먼트 실천은 가능한가 ?
  • 2001.12.31 | 사회복지리뷰 제6집호, pp.7-24
    종교단체 사회복지사업의 평가 - 서울가톨릭사회복지회를 중심으로 -
  • 2001.12.31 | 사회복지리뷰 제6집호, pp.25-38
    김대중 정부 여성복지정책 평가와 정책 제언
  • 2001.11.01 | 상황과 복지 10호호, pp.3-27
    사회복지실천의 탈계층화 : 정체성의 확립인가? 정체성의 위기인가?
  • 2000.11.01 | 한국사회복지학 43호호, pp.7-41
    사회적 관계망 개입의 유형과 장애요인 연구-지역사회복지관 재가복지센터를 중심으로
  • 2000.06.01 | 한국사회복지학 통권4호, pp.93-118
    여성주의 사회복지실천의 정립을 위한 고찰
  • 2000.05.01 | 성평등연구 제4집호, pp.41-67
    부천지역 청소년 성문화 환경과 사회복지적 대응방안
  • 2000.01.01 | 사회복지리뷰, pp.35-63
    IMF이후 빈곡가족 해체의 현황과 대안-실직여성가장과 결식아동을 중심으로
  • 1999.05.20 | 한국가족복지학 제3호호, pp.63-89
    가정폭력 피해자를 위한 서비스 네트?p 모델 개발
  • 1999.04.01 | 성평등연구
    저소득 실직여성 가장의 여성복지 강화 방안
  • 1998.12.26 | 사회복지 139호호, pp.54-66
    종교계 사회복지 참여현황 및 활성화 방안
  • 1998.12.01 | , pp.65-88
    여성복지시설 운영실태
  • 1998.02.27 | 성평등연구, pp.9-25
    편모가정 아동에 대한 사회사업실천 접근
  • 1997.02.01 | 성평등연구 1997-호, pp.155-172
    한국의 사회복지서비스와 여성복지의 실태
  • 1997.02.01 | 성평등연구 1997-호, pp.9-132
    대학생활에서 나타나는 성별문화
  • 1996.12.01 | 사회과학연구 12집호, pp.97-113
    우울여성에 대한 사회사업적 접근에 대한 연구
  • 1996.12.01 | 창간호, pp.187-219
    대학부설 사회복지 기관운영 연구 - 지역사회복지관 운영을 중심으로
  • 1996.02.01 | 2집호, pp.229-248
    가족형태에 따른 생활보호여성의 생활 스트레스와 우울에 관한 연구
  • 1995.11.28 | 한국사회복지학 통권2호, pp.67-89
   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에 관한 비교연구- 빈민여성과 중산층 여성을 중심으로 -
  • 1995.02.01 | , pp.1-197
    빈곤여성의 사회적 환경요인과 심리적 디스트레스와의 관계
  • 1994.12.01 | 7호호, pp.97-112
   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사회적 환경요인으로서의 생활사건, 생활조건과 그 측정
  • 1994.03.01 | 한국청소년연구 5권4호
    빈곤 모자가족의 자녀문제와 가족복지접근
  • 1992.03.01 | 사회복지연구 4호호
    도시빈곤여성의 심리적 디스트레스와 사회 스트레스(Souil Stress)모델의 유용성
  • 1992.03.01 | 6호호
    빈곤여성의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관한 사회환경적 접근
  • 1990.03.01 | 2권호
    사회복지법상의 나타난 사회복지 公私실천체계간의 관계
  • 1989.03.01 | 5권호
    전문직교육을 위한 사회복지 교과과정에 관한 기초연구
  • 1989.03.01 | 1권호
    편부모가족을 위한 가족적 접근에 관한 연구
  • 1987.03.01 | 4권호
    사회복지관 수혜자의 욕구와 프로그램 만족도에 관한 연구
  • 1986.03.01
    장애자 재활기념의 사회적 의미에 관한 연구
  • 1984.03.01
    요보호모자가족의 역할기능에 관한 연구-시설보호 모자가족을 중심으로
  • 1984.03.01 | 5권호
    요보호 모자가족의 역할 기능에 관한 연구-시설보호 모자가족을 중심으로
  • 2024.01 | 단독 | 집문당
    질적 연구의 방법과 분석
  • 2020.12 | 단독 | 학지사
    제도적 문화기술지-이론적 토대와 실행-
  • 2016.08 | 단독 | 집문당
    사회복지연구에서 질적방법과 분석
  • 2015.08 | 공동 |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
    우리 복지국가의 역사적 변화와 전망
  • 2014.08 | 공동 | 학지사
    근거이론 분석의 기초 : 글레이저의 방법
  • 2014.03 | 공동 | 나남(nanam)
    Institutional Ethnography
  • 2010 | 공동 | 공동체
    가족정책
  • 2008.09.25 | 공동 | 나남
    여성복지 실천과 정책
  • 2007.09.10 | 공동
    가족복지의 정책과 실천
  • 2005.02.01 | 공동 | EM커뮤니티
    사회복지개론
  • 2002.04.01 | 나남출판
    사회복지실천기술연습
  • 2002.02.01 | 나눔의 집
  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
  • 2000.03.05 | 나남출판사
    여성복지론
  • 1997.09.30 | 나남출판
    여성운동과 사회복지: 학대받는 여성의 쉼터 연구
  • 1997.01.25 | 학지사
    가족복지학